땅콩 재배
땅콩심는시기
남부 4월 하순~5월 상순
중부 5월 상순
(※ 비닐 피복 재배는 10~15일 빨리 심습니다)
1. 땅콩밭 만들기
만약, 다른 농사를 계속 짓던 땅이고, 화학비료로 인해 산성화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면, 중성화를 위해 석회를 넣어줘야 합니다.
특히 석회는 다른 밑거름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2~4주 전에 뿌려 흙을 뒤집어 줍니다.
국립 식량과학원에 의하면 땅콩의 10a당 적정시비량은 질소(N)-인산(P205)-칼리(K20)을 성분량으로 3-10-1kg, 퇴비 1000~1500kg, 석회 150~200kg 를 전량 밑거름으로 주라고 하네요. 1주 전에 밑거름을 주고 흙을 뒤집어 줍니다.
특히 작년에 땅콩 등 콩과 계열을 심었던 곳에 올해 또 심었다면 연작피해로 수량 감소가 큰 편입니다.
그렇다면 돌려짓기를 해야 된다는 말인데 텃밭의 사정상 그곳이 그곳이라서...
2. 땅콩 모종 키우기
땅콩을 물에 담가 하루 동안 불립니다.
다음 날 물을 뺀 다음 따뜻한 곳에서 2~3일간 젖은 채로 두면 어린 뿌리가 나와요.
어린 뿌리가 아래로 가도록 심습니다. 모종판이 없으시다면 생수병이나 일회용 용기 등을 활용하셔도 돼요.
6일 뒤 싹이 올라오고 있어요.
씨앗을 넣고 20일 정도, 본잎이 2~3장이 되면 텃밭에 옮겨 심어요.
3. 이랑 만들기 및 모종 심기
농촌진흥청에 의하면 두둑 높이 20cm 이상, 두둑 70~80cm, 고랑 30~40cm로 이랑을 만들어 주라고 하네요. 모종에 붙은 흙 높이만큼 파서 심어줍니다.
그리고 물을 충분히 줍니다.
뿌리가 활착이 돼서 잘 자라고 있어요.
4. 비닐 벗기기/ 북주기
땅콩 재배 과정 중 제일 중요한 부분이 비닐 걷기와 북주기인 것 같아요.
꽃이 피기 시작할 때 땅콩 전용 비닐이 아니라면 비닐을 걷어냅니다. 그 이유는 꽃이 지면서 땅으로 들어가 땅콩이 달리기 때문이에요. 일반 비닐은 땅콩 스스로 뚫어서 들어갈 수가 없어요.
땅콩 꽃은 지면서 중력에 의해 땅으로 향합니다. 한 달 정도 지나면 수정이 된 씨방 자루 끝에서 땅콩이 자라게 되죠.
“씨앗을 스스로 땅에 심는 땅콩” 인 거죠.
땅콩을 낙화생이라 불리는 이유도 여기에 있겠죠. 땅콩이 생기는 과정 즉, 꽃이 떨어져 자라는 식물이라는 뜻인 거죠.
따라서 비닐을 적당한 시기에 걷어주는 게 중요하고, 북주기가 땅콩 수확량과 직결된다는 말이죠.
그리고 땅콩 밑동 사이사이에 흙을 덮어줍니다.
5. 수확
땅콩의 수확은 대략 9월 하순~10월 중순 사이에 수확을 합니다. 땅콩을 일부 캐어서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. 땅콩 꼬투리 표면에 그물무늬가 만들어졌다면 수확할 때가 된 것입니다.
땅콩을 씻어서 말립니다.
땅콩 호리병 위 아래를 꼭 누르면 땅콩을 볼 수 있어요.
텃밭에서 땅콩이 자라는 과정을 영상으로 만들어 봤어요.
감사합니다. 좋은하루 되세요~